다크에덴 :: 도서관에서 읽어볼 수 있었던, 책의 내용들 현재는 길드 건물 자체가 사라지고, 해당 NPC(카인)의 이름도 역할도 변경되었는데요 과거에는 해당 NPC를 통해서 뱀파이어에 관한 이야기를 읽어볼 수가 있었습니다. 게임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는(공략법 등) 내용이지만, 그런 컨텐츠가 있다는 자체가 흥미로웠습니다. 다크에덴을 처음으로 플레이하던 어린 시절에는 이마저도 신기해서 자주 읽어봤던 내용들이었습니다. 당시에는 '뱀파이어'라는 존재를 캐릭터로 다룬 게임이 다크에덴 하나 뿐이였거든요(지금도 유일한가요?) 새로운 내용들이 추가되지는 않았고, 오픈 베타서비스 2차 당시의 내용 그대로 15년 이상 유지되다가, 현재에 이르러서는 게임 내에서 완전히 없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카인은 원래 길드 건물에 있던 NPC는 아니었습니다 슬레이어는 원래 '비밀 아지트'에서 ..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슬레이어_방어구(상의, 하의)] 슬레이어 방어구 중에서 높은 회피율과 방어율을 보유한 상의와 하의입니다 초기에는 착용하면, 2단계 외형으로 변화하는 '배틀 슈트'와 '레깅즈'는 엄청난 가격(아이템 드랍률이 상승하자마자 가격은 급락했습니다)을 자랑했었죠. 클로즈베타 당시에는 어떠한 갑옷을 착용해도 바로 2단계 외형부터 나왔다는 말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1단계 외형은 오픈 베타테스트 당시에 추가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과거 롤백이 되었던 외형패치 당시에 아이템 설명을 자세히 보았을 떄 나오는 이미지가 인벤토리 이미지와는 일부 다르게 변경(일부 저단계 아이템만 해당)이 되었습니다. 3일? 정도만에 유저들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서 롤백되었지만, 아이템 이미지는(자세히 보기시) 롤백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뱀파이어의 코트도 동..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슬레이어_무기(성수, 폭탄, 지뢰)] 캐릭터가 직접 착용하는 무기는 아니지만, 공격 기능을 가졌던 아이템들입니다(제목의 통일성을 위하여 무기로 분류하게 되었습니다) 폭탄이나 지뢰는 던지거나 매설하는 전용 스킬을 습득해야 사용가능 했는데요. 성수의 경우에는 캐릭터의 능력치나 도메인 레벨과는 무관하게 인벤토리에 보유만 하고 있다면 '성수 던지기' 스킬이 생성되고, 해당 스킬을 이용해서 투척 공격을 할 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인챈트 계열로 육성시 성수 아이템만 가지고 있다면, 계열 레벨이 '0'이더라도, 성수 던지기를 통해서 빠른 레벨업이 가능했습니다성수는 '크리에이트 홀리워터' 스킬의 레벨로 제작가능한 크기가 정해졌는데요. '소량 - 중량 - 대량'의 순으로 제작이 가능했으며, 대미지도 그에 맞춰서 강해졌습니다. 물론 제작시의 재료인 '물병'.. 다크에덴 :: 몬스터 설명 [레벨 : LV100 ~ LV150, 아담의 성지] 아담의 성지에서 출몰하는 몬스터들 입니다 처음에는 기존 레어 마스터에서 출몰하는 몬스터 3종 + 신규 7종으로 추가 되었는데요. 이후에 3종이 추가되면서 총 13종의 몬스터가 출몰하는 맵이 되었습니다. 기존 3종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나머지 몬스터는, 아담의 성지에서만 등장해야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패치시 스토리 라인을 고려하지 않는 것인지? 전체 맵의 이곳저곳 출몰하게 되었죠 일부 몬스터들은 기존의 뱀파이어가 아닌, 릴리스의 사념이 빗어낸 마족 몬스터라는게 컨셉입니다 멈 림몬(Mum Rimmon) 마계 최고의 명의로 알려져 있는 그는, 본래 북유럽 작은 마을의 수호신으로 사람들의 건강과 안정을 지켜주었다 그러나 이 지방에 신교가 들어서면서 이 수호신은 이단으로 취급 당하였고 다른 많은 토착신들과 마찬.. 다크에덴 :: NPC 설명 [야전 사령부] 유저들의 시작 지점이었던 '야전 사령부'입니다 초기에는 뱀파이어로 바로 시작할 수 없었고, 슬레이어가 흡혈 당해서 24시간이 지나야 뱀파이어가 될 수 있었기에, 야전 사령부에서 '데드 바디'에게 흡혈 당해서 뱀파이어로 시작하곤 했습니다. 뱀파이어로 변하는 시간은 이후에 12시간으로 줄어들었고, 나중에는 12시간 동안 흡혈 디버프로 능력치에 페널티만 남았고, 뱀파이어로 변하는 것은 삭제가 되었습니다 '야전 사령부'가 추가되기 이전에는 슬레이어는 수도에 위치한 비밀 아지트에서 튜토리얼을 진행하고, 헬기에 탑승하여 슬레이어 길드 건물의 지하로 이동하여 당시의 수련장(이후 '지하수로'로 명칭이 바뀜)에서 진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후에 지역별로 나뉘어진 슬레이어 길드가 '전면전 시나리오(시작은 거창했으나 결과는 .. 다크에덴 :: NPC 설명 [무사 길드] 언제나 북적부적하던, 무사길드입니다 무사길드에 대부분 슬레이어들이 모여있었으며, 그로 인하여 아이템 거래의 장이 되었죠. 예전에는 지금처럼 개인상점 기능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채팅으로 판매하는 아이템을 말하거나 "ㅇㅇㅇ등 잡템 팝니다"를 외치면, 구경을 원하는 사람이 거래를 걸고, 판매자는 아이템을 보여주고, 거기서 원하는 아이템이 있다면, 거래를 하는 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고 단계의 아이템(당시 퓨리, 미네르바, 워해머 등)은 모두의 관심을 받기에 충분했기에 판매한다는 유저가 있으며 누구나 거래를 걸어서 아이템을 구경하곤 했는데요. 구경꾼이 너무 많은 경우, 구경은 사절한다는 식의 내용도 같이 작성하곤 했었죠 당시 다크에덴과 같은 시점(쿼터뷰)이며 같은 시기에 서비스 되던 게임이 '드로이얀'이었는데요... 다크에덴 :: NPC 설명 [군인 길드] 군인 길드는 유저들이 그렇게 많이 몰려있지 않았던 길드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다크에덴 NPC의 기본 스토리 설정입니다. 뒷 배경이라고도 하죠 다크에덴 초기의 설정이기 때문에 도중에 변경이 되었을 수도 있으나, 제가 알기로는 최근에 '각성' 업데이트를 거치게 되서야 NPC에게서 스토리가 없어지고(대화시에 선택지를 선택하여 이야기는 듣는 식의) 배치가 바뀌었으며, 대부분의 NPC 이름도 "패시브 스킬북 상인"과 같이 변경이 되었더군요. 그 이전까지는 변경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더욱 초기인 1차 베타테스트에는 건물 하나에 모든 NPC가 있었습니다. 이후에 계열마다 길드 건물이 생겨나면서 추가된 NPC도 있고 기능이 변경된 NPC도 있습니다. 관련된 스토리도 약간은 변경이 되었는데요. 기본적인 틀은 비슷하지.. 다크에덴 :: NPC 설명 [성직자 길드] 성직자 길드는 악세사리 판매 NPC가 두 명이나 있어서 제가 원하는 옵션을 찾으러 우선적으로 방문했던 곳이기도 합니다 모바일 환경에서는 세로가 아니라 화면을 돌려서 가로로 보는게 보기 편합니다 다크에덴 NPC의 기본 스토리 설정입니다. 뒷 배경이라고도 하죠 다크에덴 초기의 설정이기 때문에 도중에 변경이 되었을 수도 있으나, 제가 알기로는 최근에 '각성' 업데이트를 거치게 되서야 NPC에게서 스토리가 없어지고(대화시에 선택지를 선택하여 이야기는 듣는 식의) 배치가 바뀌었으며, 대부분의 NPC 이름도 "패시브 스킬북 상인"과 같이 변경이 되었더군요. 그 이전까지는 변경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더욱 초기인 1차 베타테스트에는 건물 하나에 모든 NPC가 있었습니다. 이후에 계열마다 길드 건물이 생겨나면서 추..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슬레이어_무기(메이스)] 초기에는 착용시 십자가와 구분이 되지 않았던 메이스입니다 메이스를 사용하는 성직자 계열은 인챈트인데요. 힐 계열이 치유에 특화되어서 수비적인 느낌의 계열이라면, 인챈트는 공격에 특화되어서 전선에서의 주력 딜러로 활동을 했던 계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단의 태그를 사용해서 종족별 설명만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스킬도 마찬가지입니다) 슬레이어_무기(메이스) 아이템 설명[비승직] 아이언 메이스(Iron Mace) 교회의 가르침을 받은 성직자라 할지라도 불가피한 상황에는 전투를 할 때도 있다. 교회에서는 날카로운 날이 있는 무기를 금지했기 때문에 메이스를 들었다. 중간정도 크기의 봉에 끝에는 뭉툭한 쇠 뭉치가 달려있는 것이 아이언 메이스의 외관 모습이다 성직자 무기 중 가장 일반적인 무기 실버 메이스(Silv..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슬레이어_무기(십자가)] 슬레이어 성직자 계열에서 사용하는 무기입니다. 무기에 따라서 힐과 인챈트 계열로 나뉘는데요 다른 게임들에 존재하는 '힐러'의 역할을 하려면 '십자가'를 들어야 했습니다. 5레벨 이후에는 몬스터를 일반 타격으로 공격하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메이스를 들어도 무방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앰플 가격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힐 계열이 아닌데도 5레벨에 습득하는 치유 스킬을 습득해서 사용하고 다니기도 했었죠. 뱀파이어의 독 마법에 대응하기 위해서 10레벨에 습득하는 해독 스킬을 습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후에 경험치 획득률이 상승한 뒤로는 다른 계열의 스킬을 한 두번만 사용해도 레벨업이 되는지라 그런 경우는 없었는데, 경험치 획득치가 극악이었던 예전에는 그랬다는 것이죠 슬레이어_무기(십자가).. 다크에덴 :: 몬스터 설명 [레벨 : LV1 ~ LV10] 몬스터에 대한 설명입니다. 실제 게임상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설정이 그렇다는 것이지 게임에 그대로 적용되는 능력이나 효과는 다를 수가 있습니다. 몬스터의 레벨은 다크에덴의 공식 설정상 분류된 레벨입니다 아이템이나 스킬과는 다르게, 몬스터의 경우에는 세부적인 설정이 거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모든 몬스터가 작성되지는 않습니다. 몬스터의 세부 설정은 2001년도 말에 공개가 되었다가 홈페이지가 개편되면서 한 줄에서 두 줄 정도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나마 남아있는게 현재 작성하는 낮은 레벨의 몬스터 정도입니다 몬스터 이미지를 로딩화면으로 사용했고 거기 나왔던 내용보다는 조금 더 자세한 정도입니다 데드 바디(Dead Body) 죽은 지 사흘이 되지 않은 시체가, 뱀파이어..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슬레이어_무기(총, SR)] 남자들의 로망! 저격총(Sniper Rifle)입니다 영화나 게임상에서 상대가 나를 볼 수 없는 원거리에서, 적을 한 방에 제압하는 모습으로 자주 나타나는데요. 이는 다크에덴에도 (컨셉은)그대로 반영이 되어서, 4가지 총기들 중에서 사거리와 대미지가 높게 설정이 되어있습니다. 그에 대한 페널티로는 연사속도가 산탄총(SG)와 더불어 최하위를 자랑합니다. 산탄총은 (설정상으로는)상당히 강력한 무기고, 이는 저격총 역시도 마찬가지기 때문에 그런 페널티를 준 것으로 보입니다 굳이 그런 부분이 아니라도, 고정관념일지는 모르나 저격총이 소총이나 자동소총보다 연사가 빠르면 이상하잖아요? 추가적으로 연사스킬은 사용하지 못하는 페널티가 있었으나(이는 산탄총도 마찬가지) 패치로 인하여 연사스킬을 사용할 수 있게 변경이 되..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