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타(DN8) HEV :: 블랙박스(퀀텀4K)와 레이다 위치 변경 언젠가는 해야겠다고 마음은 먹고 있었지만, 미루고 미루다가 50여일만에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블랙박스(아이나비 퀀텀4K) 위치 변경'이 바로 그것입니다! 블랙박스 :: 아이나비 퀀텀4K, '레이다2(iRADAR-200)' 장착 최근 들어서 초저전력 모드가 괜찮게 느껴져서 주차 시에는 '저전력' 모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전력 모드는 아이나비 기준으로 초저전력과 저전력 모드가 있는데요. 저전력이나 초저전력이 reggiane.tistory.com 더불어서 며칠 전에 장착했던 '레이다(아이나비 레이다2)'도 블랙박스 옆으로 위치를 변경할 겁니다 소나타(DN8) HEV :: 아이나비 블랙박스, 퀀텀4K 장착! 기존 사용하던 아이나비 F3000에서, 퀀텀4K로 블랙박스를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쌓여있는 카드 포인트를.. 블랙박스 :: 아이나비 퀀텀4K, '레이다2(iRADAR-200)' 장착 최근 들어서 초저전력 모드가 괜찮게 느껴져서 주차 시에는 '저전력' 모드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전력 모드는 아이나비 기준으로 초저전력과 저전력 모드가 있는데요. 저전력이나 초저전력이나 작동 방식은 같습니다. 주차 녹화로 진입하면 최소한의 전력을 유지하여 대기하다가, 충격을 받으면 1초 이후에 고속으로 부팅되서 녹화를 시작하는 것인데요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대기하는 도중에 소비하는 전력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초저전력은 7.7mA(암페어로 환산시 0.0077A), 저전력은 약 70mA(암페어로 환산시 0.07A)를 소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아이나비 블랙박스 기준) 다만 블랙박스 설정 내에서는 동일하게 '저전력'이라고 표기가 되어있으므로, 블랙박스의 상세 설명이나 판매 페이지의 표기를 보고 구분을.. 소나타(DN8) HEV :: 크리스탈 코트 플러스, 온종일 비오는 날의 비딩 새벽부터 시작한 비줄기가 줄어들지도 늘어나지도 않고 온종일 내렸던 하루입니다 기온이 낮은 강원도 쪽은 비대신 눈이 내렸다고 하던데, 서해안 지방은 따뜻해서 비만 내리네요 덕분에 '크리스탈 코트 플러스'의 비딩을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차량의 유리는 엊그제 물과 발수코팅제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닦아주었는데요 도장면의 경우에는 지난 번 세차 이후로는 건들지 않았는데도 비딩이 이쁘게 맺힌 모습입니다 정면과 측면의 모습입니다 퇴근 이후에는 드라잉 타올로 가볍게 물기만 제거했더니 세차한 느낌이네요 미국(USA)에서 판매 중인 'DN8 소나타' 색상 미국에서 판매되는 'DN8 소나타'는 국내에 판매되는 것과 색상이 일부 다르다는 말에 찾아봤습니다 외관 디자인 같은 경우에는 해외에서는 기본 가솔린 모델이나 1.6T 모델이나 동일하게 국내의 1.6T(센슈어스) 디자인으로 나오게 됩니다(단, 제일 하위 트림인 SE의 경우에는 국내 가솔린 모델과 동일한 디자인) 트림별로 선택 가능한 색상의 차이가 있어서, 하이브리드의 경우에는 리미티드(Limited) 트림, 가솔린 모델의 경우에는 셀 플러스(SEL Plus)로 나열해봤습니다 하이브리드 ■ 녹턴 블랙 ■ 햄턴 그레이 ■ 쉬머링 실버 ■ 포르토피노 ■ 하이퍼 화이트 ■ 옥스포드 블루 ■ 칼립소 레드 가솔린(2.5) & 가솔린 터보(1.6T) ■ 햄턴 그레이 ■ 쉬머링 실버 ■ 팬텀 블랙 ■ 스토미 씨 ■ 포르.. 소나타(DN8) HEV :: '크리스탈 코트 플러스'로 세차 마무리 2주 전에 구정을 맞이하면서 세차하고 '크리스탈 코트 플러스'로 마무리하고 당일과 다음날에 촬영했던 사진입니다 작업성도 슬릭감도 괜찮은 제품이라서 꾸준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1시간 전후로 세차를 빠르게 끝낼 떄에는(보통 실내까지 간단하게 하기 때문에 1시간이면 빡빡합니다) '캉가루 물왁스', 2시간 전후로 세차를 느긋하게 끝낼 때에는 '크리스탈 코트 플러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플러스로 강화되면서 사과향에서 블루베리향으로 변경되어서 아쉽지만, 지속성이 그만큼 상승(대신에 슬릭감도 감소함) 했으니 적당히 균형을 맞춘거 같습니다. 1달은 넘게 지속이 되는거 같더군요 세차를 마치고 마트에 방문했을 때의 사진입니다 '옥스포드 블루' 색상이라서 은은한 빛 아래에서나 해가 지고 어둑해진 상황이 되어야 '암.. 소나타(DN8) HEV :: '액티브 에어 플랩' 작동 확인하기 DN8 소나타 하이브리드에는 '액티브 에어 플랩'이라는 장치가 있습니다 최근의 하이브리드들은 대체적으로 있을겁니다. 그리고 굳이 하이브리드가 아니더라도 일부 차량의 경우(G70도 있다고 들었습니다)도 해당 장치가 있다는군요 '액티브 에어 플랩'은 그릴 중앙에 위치하면서 냉각이 필요할 떄는 열리고, 냉각이 불필요할 때는 닫혀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장치가 없다면 항상 그릴이 뚫려있는 것이죠 이전 차량인 'AE 아이오닉 하이브리드'는 시동을 끄면 '액티브 에어 플랩'이 작동하던 위치 그대로 유지가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닫혀있는 상황에서 시동을 끄면, 그대로 닫혀있고. 열려있는 상황에서 시동을 끄면 그대로 열려있는 식이죠.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시동을 끄면 무조건 닫혀있던거 .. 소나타(DN8) HEV :: '아이나비 퀀텀4K' 블랙박스, 모션 감지 전압 측정 이번에는 '아이나비 퀀텀4K' 블랙박스를 'DN8 소나타 하이브리드' 차량에 장착하고 모션 감지를 사용하면 어느 정도나 주차 녹화가 유지되는지 전압을 측정해봤습니다(블랙박스 보조 배터리 없음) 해당 차량이 아니라도, 시동 배터리가 통합형으로 되어 있는 일부 차량에서 '블랙박스 보조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고 시동 배터리(퓨즈 박스를 통해서)에서 직접 전력을 가져오는 경우에도 해당이 되겠습니다 주행 조건에 따라서 충전량이 다를 수가 있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AE / AE PE 아이오닉 하이브리드(2017년형 부터) - 30AH CN7 아반떼 하이브리드 - 30AH DN8 소나타 하이브리드 - 30AH NX4 투싼 하이브리드 - 15AH DE / DE PE 니로 하이브리드(2018년형 부터) - 30AH.. 피지 제거기 :: 로이엘(LOIEL) 전동 피지 흡입기 얼굴에 피지(블랙 헤드, 화이트 헤드)가 많은 편은 아닌데, 호기심에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전동 피지 제거기' 중에서 최저가에 배송비 포함으로 구입할 수 있는 제품 자주 사용할 제품은 아닌데, 나중에 필터만 따로 구매하기는 배송비가 아까울 것이라고 생각하여 추가 필터도 3세트나 구입하게 되었다. 본품에도 1세트가 포함이니까, 총 4세트(6*4 =24개)의 필터를 가지게 되었군요 중국 제품을 수입해서 브랜드 로고만 찍는 것으로 추정되므로 '로이엘'이라는 브랜드가 아니라도 최저가로 정렬된 제품 중에서 다른 브랜드로도 만나볼 수 있는 제품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사용법은 열기로 모공을 확장시키고, 제품을 사용해서 피지를 뽑아내는 방식입니다 당연히 작은 원형 타입이 흡착력이 강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네요 .. 소나타(DN8) HEV :: 배터리 모니터2(BM2), 퓨즈 박스에 장착하기! '아이오닉 하이브리드' 2017년형 이후로 현대와 기아의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시동 배터리로 '납산'이 아닌 '리튬 이온'이 탑재가 되는 비중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근래에 출시한 '소렌토 하이브리드'는 풀체인치로 출시되면서 출시가 되었는데도 납산(시동)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앞으로 출시되는 차량 모두가 '리튬 이온'으로 바뀌어서 출시가 된다고는 확답 할 수는 없는거 같습니다 '내장형 리튬 이온 시동 배터리'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명확한 녀석이라서 말이죠 ㅡ,.ㅡ 기존 하이브리드들은 트렁크 쪽에 시동 배터리가 위치하였는데, 리튬 이온으로 바뀌면서 시트 하단으로 위치가 변경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BM2와 같은 배터리 모니터 기기를 다이렉트로 연결하기에는 어렵게 되었습니다. 시트 하단을 들.. 다크에덴 :: 뉴스레터 [무결제 LV150 : 천하뱀] 이번에는 무료 사용자로 LV150을 달성한 '천하뱀'님 이야기입니다 100% '프리미엄 서비스'를 안쓴 것은 아니고, 이벤트를 통해서 획득한 경우에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프리미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한 번도 결제를 하지 않았다는 뜻이죠 다만, 당시 이벤트에서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보상으로 주는 경우가 드물었고, 주더라도 기간을 짧게 주었기 때문에, 거이 사용을 안했다고 봐도 무방하겠습니다 당시에는 레어 스킬인 '블러드 드레인2'도 없었고, 무료 사용자의 최고 사냥터는 오로지 드로베타 뿐이였으니... 레벨업이 정말 끔찍했죠. 몬스터 하나씩 하나씩 흡혈을 하던 시절이었는데 말이죠 2004년 8월 뉴스레터 다크에덴 :: 뉴스레터 [길드 탐방 : 독고다이] 다크에덴을 했다면, 이름은 한 번씩 들어봤을 법한 '독고다이' 길드입니다 지금도 있는지 찾아봤는데, 해체가 되었는지 찾을 수가 없네요 2004년 5월 뉴스레터 다크에덴 :: 뉴스레터 [뱀파이어 최초 LV150 : 제이1] 다크에덴 뉴스레터가 작성된 시기에 LV150을 달성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 전에 달성했는데, 운영팀에서 뉴스레터 컨텐츠를 만들면서 뒤늦게 인터뷰를 한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2004년 5월 뉴스레터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