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크에덴 :: 스킬 설명, 과장되게 만들기 [뱀파이어]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다크에덴 :: 스킬 설명, 과장되게 만들기 [아우스터즈]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다크에덴 :: 스킬 설명, 과장되게 만들기 [슬레이어_성직자(힐, 인챈트)]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다크에덴 :: 스킬 설명, 과장되게 만들기 [슬레이어_군인]이전 글에서reggiane.tistory.com뱀파이어는 모든 스킬을 습득할 수 있으나, 각 계열마다 두 가지 스킬만을 소개합니다독, 애시드, 블러드, 저주, 소환, 고유 순으로 작성합니다[뱀파이어_독][뱀파이어_독] 옐로우 포이즌(Yellow Poison)기존 스킬 설명인간의 시력을 일시적으로 빼앗는 노란색 독가스를 소환하는 마법이다. 중독된 인간은 자신의 주변만을 희미하게 볼 수 있을 뿐이지. 규모가 큰 싸움에서 특히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과장된 ..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계급] 슬레이어에 이어서 뱀파이어의 계급과 계급 스킬도 알아보겠습니다. 원래는 슬레이어에 이어서 곧바로 작성할 계획이었으나, 늦어버렸네요(자료는 다 만들어놨었는데요) 슬레이어는 군대의 계급, 개인의 힘 또는 특수부대의 명칭 같아 보이는 단어나, 특정한 단체의 일원이나 장(우두머리)를 뜻하는 경우였는데요. 뱀파이어는 중세시대의 귀족의 작위에서 따온 명칭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슬레이어와 마찬가지로 기존 계급(LV50이하)까지는 순서가 맞는거 같습니다만, 확장된 계급부터는 뒤죽박죽 되어버렸네요 계급과 관련한 변경 사항에 대해서는 '스킬 설명 [슬레이어_계급]' 글의 초반에 언급이 되어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작성하던 글이 완료되었으니, 이제는 기존에 작성해두었던 글들을 조금씩 수정할 생각입니다 뱀파이어 계급(L..
다크에덴 :: 일부 스킬들의 명칭을 풀어봅시다! 다크에덴에는 스킬들이 정말로 많습니다. 제가 플레이하던 2000년도 초창기에는 레벨업이 상당히 느렸던터라 도저히 써먹지 못할 정도가 아니라면 자주 사용하곤 했었죠. 이는 세월이 흐르면서 레벨업이 점차 쉬워지고, 스킬 활용을 건너뛰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습니다(게임사에서는 일부 스킬들을 삭제하고 개편도 하였죠) 제가 플레이를 하기 전보다 더욱 초기에는 슬레이어의 하위 스킬들이 상위 스킬들에게 시너지 효과를 주거나, 하위 스킬 두 개를 습득해야 상위 스킬을 습득할 수 있게 하려고 했던거(클로즈 알파테스트 초창기 설정) 같습니다. 디아블로2의 시스템과 비슷하죠? 디아블로2는 2000년 6월 29일 출시, 다크에덴은 2000년 6월 15일 클로즈 알파테스트로 시기도 비슷한지라 영향을 안받기는 어려웠을 겁니다. ..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마법] 스킬 설명 글의 마지막인 뱀파이어의 '마법' 계열입니다 승직 이후에 계열이 전투와 마법으로 나뉘어지게 되면서, 분류해서 넣는게 어렵기에 새롭게 작성을 하게 되었습니다(전투 계열은 이미 작성이 끝난 상태입니다) 참고로 뱀파이어 비승직 레어스킬의 경우에는 스킬명이나 설명에 따라서 적당히 분류하여 비승직 계열(소환, 고유, 블러드)에 집어넣었습니다. 승직 이후 공통 버프 스킬인 '피의 폭주, 울프 로어'의 경우에는 별도의 카테고리를 만들기에는 분량이 부족한지라 '마법' 계열로 분류하였습니다 뱀파이어의 전투 계열을 작성할 떄와 마찬가지로, 이미 작성된 포스트에서 '이미지 없음'으로 표시한 일부 스킬들의 GIF를 제작하여 추가하였습니다(슬레이어_군인, 아우스터즈_불, 물, 전투) [호루스] 에버레이션(Aberra..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전투] 뱀파이어는 원래 특정한 직업이 없었습니다. '능력치를 자유롭게' 상승시켜서 육성하는게 초기의 뱀파이어 종족의 컨셉이었습니다. 그래서 마법 스킬에 인트만이 영향을 주는게 아니라 덱스나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는 것이죠 물론, 이 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흐지부지해진터라 점점 패치를 통해서 힘이나 덱스는 전투, 인트는 마법으로 비공식적으로 계열이 나뉘게 되었습니다. 승직 시스템이 추가된 이후로는 완전히 계열을 전투와 마법으로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작성할 내용은 승직 이후 '전투' 계열 뱀파이어의 스킬입니다 참고로 이번 포스트에 필요한 GIF를 제작하면서, 지금까지 '이미지 없음'으로 비어있던 다른 계열의 일부 스킬(슬레이어_도, 검, 힐, 인챈트, 뱀파이어_고유, 소환, 저주, 블러드..
다크에덴 :: 게임에서도 홈페이지에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스킬들 다크에덴 2차 클로즈 베타테스트를 기준으로, 홈페이지에서도 게임상에서도 흔적이라고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스킬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제가 스킬 설명글을 올리면서 홈페이지에는 나와있지만, 게임상에서는 추가되지 않았던 스킬들에 대해서도 언급은 해놨었는데요(예 : 검 계열_인빈서블, 인챈트_힘, 힐_엑소시즘, 뱀파이어_블러디 스톰 등)이번에 언급하는 스킬들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던 스킬들 입니다. 아마도 1차 오픈 베타테스트나 클로즈 베타테스트 당시에 사용했던 스킬이었거나, 추가는 하려고 게임상에 설명까지 작성은 해두었지만, 실제로 추가는 되지 않았던 그런 스킬들로 생각이 됩니다그러나 해당 파일의 작성 시간이 2차 클로즈 베타테스트 이후로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일부 스킬들은 추가는 하려고 하였으나 하..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고유] 뱀파이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흡혈'이 분류된 고유 계열입니다뜬금없지만, 다크에덴2의 후속작으로 개발된 'D2 온라인'을 기억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온라인 게임들은 정식 오픈 전에 '알파 테스트(비공개 테스트) - 클로즈 베타 테스트 - 오픈 베타 테스트'의 과정을 거치는데요, D2 온라인'은 독특하게 '크레센트 문(클로즈 베타 테스트1) - 하프 문(클로즈 베타 테스트2) - 풀 문(오픈 베타 테스트)'이라는 이름을 사용해 신선한 인상을 주었습니다저는 클로즈 베타 테스트에 참가한 테스터였으며, 특히 테스터 중에서도 선정된 '스튜디오 쿠퍼' 멤버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스튜디오 쿠퍼'는 게임 개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네이버 비공개 카페의 특별 회원 그룹으로, 여러 자료를 공유하고 건의..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소환] 소환이라는 개념을 떠올리면, 복종하는 존재를 불러내어 지속적으로 전투를 벌이게 하는 것을 떠올리는데요다크에덴에서는 즉시 공격을 하거나 버프를 활용하는 형태로 구성된 소환 스킬들도 존재합니다그런데 이런 식이라면, 페럴라이즈 역시 다른 세계의 악령을 소환하는 마법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뱃 스톰 1(Bat Storm 1)박쥐떼를 소환하여 주변 적들에게 강한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소환된 박쥐떼들은 일정한 시간 동안 그대의 적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할 것이다. 힘과 민첩성을 연마할수록 소환되는 박쥐떼의 공격은 강해진다 서먼 캐스킷(Summon Casket)홈페이지 스킬 설명평범한 쇠붙이는 우리에게 어떤 상처도 입히지 못한다. 하지만 순은으로 만들어졌거나, 도금된 무기에 당하면 그리 쉽게 회복할 ..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저주] 뱀파이어의 마법 콤보의 시작이었던 저주 마법입니다 저주 마법저항력은 조금만 맞춰도 페럴라이즈에 걸릴 확률이 낮아지지만, 어설픈 저주 마법저항력은 데스에는 그냥 뚫려버렸죠. 예전에는 지금과 같이 아이템에 추가 옵션이 주렁주렁 달리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저항력을 맞추기가 쉽지 않아서(물론, 게임머니가 많다면 해결은 됩니다만) 저주 마법저항력을 올리는게 최우선으로 고려되고는 했습니다 사냥터에서 사냥을 하고 있는데, 인비지가 풀리며 나타난 뱀파이어가 데스 - 페럴라이즈의 콤보를 날려주면 사실상 패배는 확정이었죠. 뱀파이어가 컨트롤 미스로 몬스터에게 사용하거나 저항력이 높아서 걸리지 않았다면 그제서야 반격을 시작하곤 했었죠 커스 오브 블러드(Curse of Blood 1) 이 마법을 사용하여 그대 체내의 피를 주..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블러드] 체력 소모는 많지만, 강력한 대미지를 가지고 있는 블러드 계열의 마법입니다 공격 스킬은 최소한 54레벨 정도는 되어야 습득하기 때문에, 초기에는 고레벨의 상징인 계열이었죠. 특히 블러디 스피어는 이펙트는 초라하지만 애시드 이럽션과 콤보로 맞게되면 체력이 썰려나갔다고 표현할 정도로 매우 강력했습니다 당시에는 옵션 단계가 풀리지도 않았을 뿐더러, 일단은 페럴라이즈만 걸리지 않으면 어떻게든 대항을 할 수 있었으니 저주 저항력을 우선적으로 했던 시기여서 가뜩이나 강력했던 블러드 계열인데 저항력도 없는 상태에서 공격을 받으니 대미지가 강할 수 밖에 없었겠지요 블러디 터널(Bloody Tunnel) 홈페이지 스킬 설명 피를 흑마법의 촉매로 사용하는 공간 이동 계열의 주문이다. 특수한 보석을 좌표 지정용으로 사용하고..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애시드] 뱀파이어 스킬을 보면 버려지는 스킬이 많습니다그래서 예전에는 아우스터즈와 마찬가지로 "계열을 선택해서 특화시키는 방식"으로 갔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습니다. 즉, 고유 계열은 기본적으로 습득하고, 나머지 계열을 선택하는 방식 말이죠. 마치, 메이플 스토리의 마법사 전직처럼 불&독, 얼음&전기 같은 식으로 특화가 되는 시스템을 바랬던 것이죠뭐… 그러한 생각을 했었다는 것입니다애시드 터치(Acid Touch)홈페이지 스킬 설명PoisonousHands와 마찬가지로 손톱에 강산을 응집시켜 적을 할퀴는 기술이다. 그렇게 대단한 위력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 기술에 당한 적은 상처 회복이 더디게 되지. 풋내기들이 백병전에서 애용한다인게임 스킬 설명1강한 산성 액체를 손톱끝에 맺히게 해서 적을 ..
다크에덴 :: 스킬 설명 [뱀파이어_독] 뱀파이어 스킬을 작성하면서 독, 애시드, 블러드, 저주, 고유 순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스킬 설명이나 업데이트 히스토리를 보면서 "왜 독이나 저주, 고유는 한글로 부르는데, 산과 피는 왜 영문명으로 부르지?"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는 없지만, 제가 다크에덴을 플레이할 때 유저들이 그렇게 부르기도 했고, 저도 그 방식에 익숙해졌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애시드 계열'이라고 부르지만, '산 계열'이라고는 잘 부르지 않았던 기억이 납니다. 마찬가지로 '블러드 계열'을 '피 계열'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지 않았죠스킬 설명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모두 기재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의 설명은 그대로일 수 있지만, 게임 내 설명이 바뀌면 [홈페이지] [게임 내1] [게임 내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