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크에덴/업데이트 히스토리

다크에덴 :: 업데이트 히스토리 [2002년도]

728x90
반응형

가로가 넓은 기기에 맞춰서 최적화 되었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이 가로가 좁은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을 회전시켜서 가로 모드로 넓게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목차


2002년 1월 업데이트


2002년 1월 3일

■ 저사양 배경음악(BGM) 추가
: [기존] 44khz 스테레오 음질
: [변경] 22khz 스테레오 음질 추가

2019년 현재와는 달리, 2002년도 당시에는 유저들의 컴퓨터의 사양이 좋은 편이 아니였다. 그러한 이유로 게임 내에서 일정 시간마다 배경음악이 바뀔 때마다 컴퓨터가 버벅이는 경우가 많았기에, 이를 고려하여 배경음악의 용량을 줄인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였다. 게임 내에서 옵션으로 바꾸는게 아니라, 저사양 배경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덮어씌우는 방식이다

 

2002년 1월 30일

■ 운영자 캐릭터 외형 변경

원래 운영자 캐릭터는 일반 유저들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었지만, 빈번한 운영자 사칭을 방지하기 위해 운영자 캐릭터의 이미지가 '지팡이를 든 마법사 캐릭터'로 변경이 되었다. 별도의 공격모션은 없었기에, 운영자 캐릭터가 총으로 공격할 때는 지팡이 부분에서 화염이 뿜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아이템 스틸(먹자) 방지 시스템 도입
: 몬스터 사망시 기여도가 높은 유저에게 10초간 우선권 부여

■ 상대방을 죽일 시에만 성향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변경
: [기존] 상대방 타격 시마다 성향이 증가하거나 떨어짐
: [변경] 상대방 사망 시에만 성향이 증가하거나 떨어짐

연속적인 PK시 성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무분별한 동족 PK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정당방위 상태에서는 상대방을 적으로 인식하도록 변경
: 상대방을 적으로 인식하여 강제공격이 아닌, 일반공격이 가능하도록 변경

■ 같은 종류의 아이템이 겹쳐지도록 변경
: 몬스터의 머리, 물병, 성수, 혈청, 박쥐 날개, 늑대 발톱 아이템이 9개씩 겹쳐지도록 변경

충격적이게도 당시에는 인벤토리 한 칸에 몬스터 머리가 하나씩만 들어갔다. 사냥 속도가 지금처럼 광역기로 순식간에 쓸어버리는 빠른 사냥이 아니었기 때문에(그런 사냥 방식이 있긴 했지만 캐릭터 자체의 스펙이 낮았기에) 지금에 비하면 상당히 느린 편이었다. 그래서 인벤토리가 채워지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고, 그로 인해 인벤토리 가득 차는 현상도 덜 발생했다

아이템 드랍률이 낮은 시절이라 아이템을 주워서 NPC에게 판매하기보다는, 대체적으로 몬스터 머리를 모아서 NPC에게 판매하는 방식이 일반적인 게임머니 얻는 수단이었다. 하지만 머리가 겹쳐지게 변경되면서 사냥 중 인벤토리가 가득 차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기타 소모품들도 겹쳐지게 변경되어 인벤토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서버가 달라도 귓속말이 가능하도록 변경

다크에덴의 '서버' 개념은 타 게임의 '채널' 개념과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타 게임에서 채널끼리 귓속말이 가능해진 것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 뱀파이어 변경사항
[1] HP가 10초당 10%재생되는 것에서, 1초당 일정량 재생되도록 변경
[2] 박쥐 상태에서는 HP재생이 되지 않도록 변경
[3] 뱀파이어는 MP가 없으므로, MP옵션이 HP옵션으로 적용되도록 변경
[4] 마법 저항력 공식이 변경되어서 뱀파이어도 독에 의해서 대미지를 약간은 입게 됨
[5] 저레벨 뱀파이어라도 자신의 레벨과 큰 차이가 나는 몬스터를 만나면 선제공격을 받게 됨
[6] 뱀파이어의 능력치 포인트를 초기화 시켜주는 기능 추가(레벨의 절반만큼만)
[7] 뱀파이어가 상점에 몬스터 머리 판매시 가격 낮아짐(슬레이어에 비해 절반)

뱀파이라는 종족 자체의 스펙도 우수했고, 초반 사냥시에 '흡혈'이라는 스킬의 존재로 슬레이어에 비해 사냥이 수월했다. 그러한 이유로 몬스터 머리 판매 가격이 절반으로 감소한 것. 이러한 변경으로 일부 유저들은 뱀파이어로 사냥을 하고, 슬레이어로 머리를 판매하는 방식으로 플레이하는 유저들이 있었다

 

■ 로지텍 i-feel 마우스 사용시, 마우스 진동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 캐릭터 레벨, 능력치 상승시 HP와 MP가 가득차도록 변경

■ 몬스터 변경

뮤턴트
사망시 확률적으로 주변에 그린 포이즌(Green Poison) 사용하도록 변경

모든 몬스터
캐릭터의 크리티컬 히트 공격은 몬스터에게 1.5배의 대미지를 가하도록 변경

 

■ 슬레이어 스킬 변경

[군인] 스나이핑

스나이핑 상태에서 공격이나 이동시, 항상 들키지 않고 확률적으로 들키도록 변경

스킬 레벨이 상승할 수록 들킬 확률이 낮아진다

 

[도] 어스퀘이크

스킬 범위내에 모든 대상을 공격하는 광역 공격 스킬로 변경

[검] 윈드 디바이더

스킬 범위내에 모든 대상을 공격하는 광역 공격 스킬로 변경

기존의 어스퀘이크윈드 디바이더는 단일 타겟 공격 스킬이었다

 

■ 슬레이어 변경사항
[1] 저격총(SR) : 거리가 멀어질수록 명중률과 대미지 보너스 추가
[2] 산탄총(SG) : 거리가 가까울수록 명중률과 대미지 보너스 추가. 기본 공격 시 멀티샷의 공격 범위(1x3)를 가지게 되며, 멀티샷 스킬 사용시 범위가 확장되어 3x3 광역 공격을 하도록 변경

대체적으로 자동소총(SMG)소총(AR)만 사용되던 상황에서, 비주류 총기에 특화를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패치에도 불구하고 자동소총소총만을 사용하는 경향은 여전히 이어졌다

'건샷 가이던스'나 2년 뒤 추가된 '인스톨 터렛, 플라즈마 로켓런쳐' 등의 스킬은 총기의 연사속도(공격속도가 아닌 총기별 고유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그제서야 저격총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산탄총은 2004년에 '광역기로 적중하는 대상마다 경험치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패치'가 이루어진 후에야 초반 레벨업 구간에서 잠시 사용하는 수준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산탄총을 사용하면 '멀티샷' 스킬의 범위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모르는 유저가 대부분이어서, 일부 유저만 사용했다

 

■ 뱀파이어에서 슬레이어로 변환시켜주는 라르바NPC 추가

예전에는 뱀파이어로 캐릭터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슬레이어흡혈을 당하고 치료받지 않으면, 게임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실제시간으로 12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뱀파이어로 변환되는 시스템이었다. 인벤토리에 있는 아이템은 그대로 유지되지만, 착용하고 있는 아이템은 떨어뜨리게 되었고, 캐릭터는 자동으로 림보성으로 이동되었다

1차 오픈베타 테스트 당시에는 슬레이어의 '리스토어'라는 뱀파이어를 슬레이어로 강제로 변환시키는 마법이 있었다고 알려지지만, 밸런스 문제인지 2차 오픈베타 테스트에서 해당 마법은 지원되지 않았기에, 슬레이어로 다시 돌아가려면 이메일이나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하여 운영자가 수동으로 변경해주는 방식이었지만, 이후 해당 역할을 가진 NPC를 추가하여 게임 시스템적으로 해결되었다

그 후 승직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 경험치 버프 아이템을 사용하고 승직하면 승직 전의 경험치가 버프 아이템 만큼 부풀려져 더 높은 등급으로 시작하는 것이 밝혀졌다. 그런데 경험치 버프 아이템에 레벨 제한이 있었고, 승직하기 직전의 슬레이어가 뱀파이어로 변한 후 레벨이 낮아지면, 경험치 버프 아이템을 사용하고 다시 슬레이어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 상태에서 승직을 완료하면, 기존의 경험치를 기준으로 승직하는 방법보다 더 높은 등급으로 시작할 수 있었다

현재는 경험치 획득률이 매우 높아져 이 시스템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당시에는 승직 이후 경험치 올리기가 어려운 시기였기 때문에 큰 파장이 일었다. 승직한 유저들과의 격차가 너무 커서 따라잡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결국 2007년에 흡혈을 통해 뱀파이어로 변하는 시스템이 폐지되었으며(흡혈을 당할 시 디버프는 그대로 유지), 라르바 NPC로 뱀파이어에서 슬레이어로 종족 변환도 불가능하게 변경되었다

종족 변환 시스템이 폐지된 후, 한 달 동안은 운영자에게 문의하면 종족 변환을 해주었지만,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았다

2002년 2월 업데이트


2002년 2월 18일

■ 뱀파이어의 혈청과 씰 가격 인하, 신규 혈청 추가

■ 왈라키아 월드 오픈(기존 월드는 트랜실베니아)

다크에덴의 월드는 타 게임의 서버, 다크에덴의 서버는 타 게임의 채널의 개념이다

 

2002년 2월 25일

■ 길드마크 지원


2002년 3월 업데이트


2002년 3월 14일

■ '화이트 데이' 이벤트(2002. 3. 14 ~ 2002. 3. 15)
: 몬스터에게 '사탕, 불량사탕' 아이템 드랍되며,이벤트 기간이 끝나도 사용가능

한때 밸런스에 걸림돌이 되었던 '사탕' 아이템다크에덴에 최초로 추가되었다. 이 소모성 아이템은 초기에는 그렇게 많이 풀리지 않아서 괜찮은 듯 보였으나, 세월이 흐르며 물량이 많이 풀리는 상황이 벌어지자 전투 밸런스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2002년 3월 29일

■ 슬레이어 스킬 추가 및 변경

[도] 어스퀘이크

하이드 상태의 뱀파이어나 몬스터를 공격가능하게 변경

 

[도] 버서커

지극한 분노를 블레이드에 담아, 망아의 경지에 이른 검사는 오직 싸움의 수라가 된다. 적이 완전히 소멸할 때까지 시전자의 이성은 돌아오지 않으며, 자신의 몸이 상처입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에 방어력 역시 내려가게 된다. 하지만 버서커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에는 어떤 적도 두렵지 않은 힘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문라이트 세버

물에 비친 달의 그림자를 양단하는 신속의 쾌도로 적을 베는 기술이다. 적을 베고 난 자리에 환상처럼 달빛이 스며든다. 동방에서 기원한 유파에서는 원월살법이라고도 불리우는 신비한 기술

[검] 라이트닝 핸드

대미지 증가

[검] 윈드 디바이더

박쥐 상태의 뱀파이어나 몬스터를 공격가능하게 변경

 

[검] 썬더 볼트

고대인들이 천지에서 가장 강한 기운이라고 생각했던 번개의 힘을 검에 깃들게 하는 신기다. 내려치는 일격은 신벌(神罰)의 검이라고까지 말해진다. 현재 이 기술을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슬레이어는 거의 없으며, 그 구현 원리도 알려져 있지 않다. 공기 중의 정전기를 이용한다는 설이 그나마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한다. 내구력이 약한 검으로는 사용이 어렵다

 

[검] 익스팬션

자신의 검을 매개체로 일종의 트랜스 상태에 다이브하는 기술이다. 모든 정신력이 깨끗이 소모되지만 체력이 극대화되고, 어떤 고통도 느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정신 집중이 필요한 어떤 행동도 할 수 없어, 신중한 사용을 요구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기술 사용 중 어떤 종교적인 경험을 한다고 알려져있다. 동료를 위해 스스로의 몸을 희생할 수 있는 용기가 있는가?

 

[군인] 더블 샷

이 기술을 사용하면 2연발의 연속사격이 가능해집니다. 단 연속사격 시에는 명중률의 페널티를 받지만, 스킬이 높아지면 페널티가 줄어들어서 그랜드 마스터의 단계에서는 페널티를 받지 않게 됩니다

'퀵파이어' 스킬이 LV10 → LV40으로 변경되며 추가된 스킬

 

[군인] 트리플 샷

이 기술을 사용하면 3연발의 연속사격이 가능해집니다. 단 연속사격 시에는 명중률의 페널티를 받지만, 스킬이 높아지면 페널티가 줄어들어서 그랜드 마스터의 단계에서는 페널티를 받지 않게 됩니다

'퀵파이어' 스킬이 LV10 → LV40으로 변경되며 추가된 스킬

 

[군인] SMG 마스터리

습득 레벨 변경 : LV20 → LV15

트리플 샷 스킬이 20레벨 스킬로 추가되었기 때문에, 습득 레벨이 변경된 것이다

 

[군인] 퀵 파이어

밸런스 문제로 습득 레벨 변경 : LV10 → LV40

[군인] 스나이핑

스킬 사용 상태에서는 캐릭터가 어둡게 나타나도록 변경

 

[군인] 드로우 봄

일반 무기로는 쉽게 죽일 수 없는 뱀파이어를 상대하기 위해서 폭탄류의 제조 및 사용이 활발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군인 내에서도 수류탄 투척 과목은 제한적으로 폭탄 제조 과목을 수료한 우수하고 성실한 병사들에게만 교육하게 되었습니다

스킬 레벨에 비례하여 수류탄의 명중률이 상승한다

 

[군인] 리빌러

점차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뢰를 찾는 장비도 점점 소형화되어 병사 한 명이 쉽게 휴대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지면에 설치된 지뢰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땅 속에 숨은 뱀파이어나, 부비트랩, 던젼 내의 함정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지 없음]

[군인] 크리에이트 봄

흡혈 성향 특이 영장류, 통칭 뱀파이어 종족의 육체는 일반 생물학적으로는 이미 죽어있는 상태다. 그 생태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나, 순환계가 생명 유지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관통, 맹관 총상 등을 의도하는 사격보다 효과적인 공격 수단으로 제시된 것이 충격파를 발생시키는 폭탄의 사용이다. 투척형 폭탄의 현지 제작과 운용에 대한 기술

 

[군인] 인스톨 마인

지뢰는 본질적으로 방어 병기다. 하지만 그것을 제거하는 작업절차가 복잡하며 위험하고, 적대 전투원에게 큰 심리적인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인류의 전쟁터에서 애용되어 왔다. 따라서 지뢰의 사용에는 은닉성이 크게 요구된다. 보다 전문적인 지뢰의 매설과 관련된 특수 훈련 과정이다

스킬 레벨에 비례하여 지뢰의 폭발 대미지가 증가한다. 슬레이어지뢰를 밟더라도 폭발하지 않으며, 오직 뱀파이어와 몬스터만 지뢰를 밟을 때 폭발이 시작된다. 단, 폭발 지점에 있는 슬레이어들은 50%의 대미지를 입게 된다. 또한, 지뢰는 다른 지뢰나 폭탄이 폭발할 경우 연쇄적으로 폭발하게 된다

 

[군인] 크리에이트 마인

폭탄 제작 툴킷을 사용해 크레이모어에서 대전차 지뢰, 화염 지뢰에 이르는 다양한 지뢰를 DIY 할 수 있는 기술 훈련 과정이다. 투척형 폭탄에 비해 지뢰는 보다 넓은 지역에 보다 큰 타격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나, 폭약 등 재료가 많이 소모되고 설치한 장소까지 적을 유인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스킬 레벨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지뢰의 종류가 달라지며, 대미지가 높은 지뢰일수록 스킬 레벨이 높아야 제조가 가능하다. 하지만, 검 계열의 'LV75 익스팬션'과 비슷한 이유로, 지속적인 패치로 캐릭터의 체력은 증가하지만 폭탄이나 지뢰의 대미지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폭탄과 지뢰는 상대적으로 쓸모가 없어지게 되었다. 즉, 캐릭터의 체력 증가폭발물의 효율성을 상쇄하게 되었다는 것

 

[힐] 큐어 시리어스 운즈

중간 정도의 치료 효과를 가지던 스킬에서, 특정 대상이나 타일에 사용시 3*3범위의 아군을 치료하는 스킬로 변경

[힐] 큐어 크리티컬 운즈

대량의 치료 효과를 가지던 스킬에서, 자신을 중심으로 5*5범위의 아군을 지속적으로 치료하는 스킬로 변경

 

[힐] 큐어 올

인간의 몸을 통해 기적을 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그 어떤 지독한(!) 신앙의 소유자라고 해도, 자신의 두뇌가 견디어 낼 수 있는 용량 이상의 정신 능력을 사용하게 되면 미쳐버리거나 백치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드물게 태어나는 고용량 두뇌의 소유자들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강대한 힘을 발휘하며, 성자라고 불린다. '큐어 올'은 그런 성자들만이 사용할 수 있는 기적의 힘이다. 인간의 몸과 마음에 깃들어 있는 모든 괴로움을 제거해주고, 대부분의 상처를 치유한다

 

[힐] 비거 드롭

오랫동안 뱀파이어를 비롯한 악의 존재에 대해서 연구해온 성직자들은, 그들의 신앙심으로 이끌어낸 빛이 사악한 존재에게는 큰 피해를 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성스러운 빛을 쐰 뱀파이어는 큰 데미지를 입게 됩니다

 

[인챈트] 비져블

자신 주변의 사람들까지도 은신의 마법을 사용하고 있는 어둠의 존재를 볼 수 있게 하는 권능이다. 집단 전투에서 그 힘을 발휘한다. 시전자의 경지가 깊어질수록 더 넓은 영역의 인식이 가능해진다

 

[인챈트] 오라 스톰

일정 영역에서 오오라 폭풍을 불어 일으키는 마법이다. 마나 소모량과 딜레이가 극심하지만, 파괴력은 최고라고 자랑할 수 있다. 거대한 오오라 폭풍이 세상의 사악한 모든 것을 휩쓸어 버릴 수 있게 되니 잘 사용하기 바란다

 

■ 뱀파이어 스킬 추가

[고유] 다크 리벤지

끓어오르는 복수심을 이용, 데미지를 극도로 상승시키는 마법이다. 이 마법이 걸린 상태에서 다른 마법을 시전하게 되면 효과는 사라지게 되니 주의하도록... 또한, 주위의 다른 뱀파이어가 죽는 모습을 본 모든 뱀파이어들은 자동적으로 다크 리벤지 상태로 변하게 된다는 점 명심하도록 해라

 

[독] 포이즌 스트라이크

자신의 모든 피를 태워버리고서라도 이기고 싶었던 어리석은 놈들이 만들어낸 기술이다. 어떤 생물이든 체내에는 약간이나마 독성분이 있기 마련이지. 그것을 촉매로 해서 생체 내부에서 핵융합을 일으키는 것이다. 어설프게 사용하면 자신이 먼저 말라버린다는 것을 잊지 말도록 해라

 

[독] 포이즌 스톰

독을 촉매로 사용하는 마법 중 가장 강한 위력을 자랑하는 것이다. 공격의 범위도 넓지만, 우리 일족까지도 말려들어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할 것이야

 

[애시드] 애시드 스트라이크

결투와 같은 일 대 일의 상황에서 상대에게 치명상을 입히기 위해 만들어졌다. 상대의 몸 속에 있는 모든 액체와 기체를 강산성 물질로 전환해서, 몸을 통째로 녹여버리는 기술이지. 인간이든, 우리 일족이든 여기에 당하면 영원한 죽음을 맞이할 수 밖에 없어

 

[애시드] 애시드 스톰

강력한 산성 폭풍우를 소환하는 애시드 계열 최강의 주문이다. 시전자 주위는 적과 아군을 가리지 않고 녹아버리지. 정신 집중이 풀리게 되면 시전자도 주문의 영향을 받게 되니 조심해야 한다!

 

■ '티모르 호수, 페로나 국도, 페이악 터널, 라센 에이나몬' 맵 업데이트

 

티모르 호수
세번째 마스터인 질드레의 지배 하에 있는 곳입니다. 티모르 호수는 원래 맑은 물과 빼어난 주변 경치로 인해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었으나, 질드레가 오자마자 주변을 마법으로 얼려서 현재의 모습으로 바뀌게 되었다고 합니다. 질드레는 잔다르크와 함께 프랑스의 독립을 위해 싸웠던 장군이었으나, 사모하던 잔다르크의 죽음으로 인해 모든 인간들을 증오하면서 흑마술과 남색에 빠져들게 되고, 결국은 뱀파이어로서의 삶을 택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전사이면서 동시에 강력한 흑마술사였기 때문에, 물리적 전투 능력과 마법적인 능력 모두 뛰어난 데다가, 잔혹하고 교활해서 모든 마스터들과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보통 인간을 제물로 해서 악마를 불러내어 전투시 활용하곤 하는데, 주로 얼음 계열의 마법을 사용하는 악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호수 안에 있는 작은 섬에는 질드레의 레어가 있는 러스트 탑이 있습니다

 

페로나 국도
드로베타 공단과 티모르 호수 지역을 연결하는 곳으로, 공단과 외지의 물자를 옮기던 에슬라니아의 지방 국도입니다. 뱀파이어들이 쳐들어오고 난 이후, 공단의 생산가동이 중단되면서 이 국도의 역할도 눈에 띠게 줄어들어 현재는 국도라는 이름만 남아 있다고 합니다. 국도 주변 지역에는 야생 동물이 서식하던 곳으로, 밀렵꾼들이 이용하던 통나무집의 흔적만이 남아 있습니다

 

페이악 터널
길드의 지하수로와 림보 던젼을 잇는 터널로, 이곳을 통해 슬레이어는 림보성으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뱀파이어들이 주민들을 시켜서 슬레이어 길드 지하로 침입하기 위한 침투로인 이곳을 파게시킨 흔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곳곳에 인간들을 잡아 가두었던 창살들이 보이며, 인간들의 것으로 보이는 뼈조각들이 널려 있습니다

 

라센 에이나몬
라센성 지하에 사람에 의해 만들어진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는 장소로, 이곳은 과거 라센성의 성주였던 누군가가 적의 침입에도 몇 십년씩 고립된 생활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인 물자들을 비축할 수 있을 만큼 넓은 지하 굴을 피난처의 용도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뱀파이어들이 장악한 이후로, 시체와 뼈가 널려진 곳으로 변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몬스터 변경

카오스나이트
크리티컬 히트 기술을 사용하게 됨

카오스 나이트가 접근 시 확률적으로 대미지를 주며 캐릭터를 밀쳐내는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 당시에는 그리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치프 몬스터라는 강화 몬스터가 추가되었고, 카오스 나이트도 이에 해당하게 되었다. 문제는 '치프' 카오스 나이트가 사용하는 넉백 기술대미지가 상상을 초월했다는 점이었다. 다른 대미지는 일반 몬스터보다 강한 수준이었지만, 이 기술만큼은 한 방에 캐릭터의 체력을 반토막 내거나, 최대 체력이 낮은 캐릭터들에게는 즉사에 가까운 대미지를 입히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후에 같은 기술을 사용하는 상위 치프 몬스터들에게도 동일한 문제를 가지게 되었다

 

■ 슬레이어 변경사항
[1] 십자가, 메이스, 폭탄, 지뢰, 신발, 장갑, 방패 추가
[2] 방어구 배틀 시리즈(배틀 슈트, 레깅즈)와 컴뱃 시리즈(컴뱃 슈트, 배틀 레깅즈) 드랍률 상승

이 패치로 인하여 슬레이어의 3단 방어구인 배틀슈트와 레깅즈가 가격이 많이 떨어지게 되었다

2002년 5월 업데이트


2002년 5월 4일

■ 슬레이어 순수 능력치 최대치 변경
: [기존] 능력치 총합 200(주 능력치 100, 서브 능력치 각각 50)
: [변경] 능력치 총합 300(주 능력치 200, 서브 능력치 각각 50)

 

■ 슬레이어 스킬 변경

[힐] 커즈 크리티컬 운즈

단일 타겟에게 대미지를 가하던 스킬에서, 단일 타겟에게 대미지를 가하며 속박하는 스킬로 변경

슬레이어에게 사용 시, 대미지만 주고 속박하지 않는다

 

[힐] 큐어 올

치료받는 대상의 HP가 가득차있는 경우 독과 저주 마법이 해제되지 않는 버그 수정

 

2002년 5월 6일

■ 슬레이어 스킬 변경

[도] 도를 사용하여 직접 타격하는 모든 스킬

공격에 실패해도 7%의 대미지는 입힐수 있도록 변경

 

2002년 5월 10일

■ 슬레이어 스킬 변경

[도] 트리플 브레이크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20 → LV25

[도] 와일드 스매쉬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25 → LV35

[도] 고스트 블레이드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30 → LV20

[도] 포텐셜 익스플로전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40 → LV50

[도] 쉐도우 워크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50 → LV45

[도] 차징 파워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55 → LV65

[도] 허리케인 콤보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60 → LV55

[도] 토네이도 세버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65 → LV60

[도] 어스퀘이크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70 → LV75

[도] 버서커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75 → LV80

[도] 문라이트 세버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80 → LV70

[검] 썬더 스파크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20 → LV25

[검] 레인보우 슬래셔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25 → LV40

[검] 댄싱 소드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30 → LV20

[검] 크로스 카운터

지속시간 증가.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40 → LV45

[검] 플래쉬 슬라이딩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50 → LV45

[검] 라이트닝 핸드

최대 대미지 감소

[검] 썬더 볼트

스킬 습득의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서 습득레벨 변경 : LV75 → LV80

 

■ 뱀파이어 스킬 변경

[저주] 페럴라이즈

적중한 대상의 회피율을 감소시키는 효과 삭제

놀랍게도, 이전까지는 페럴라이즈에 걸린 대상은 회피율이 감소하는 디버프를 받았다. 대략 50정도의 회피율이 감소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에 의문을 가진 일부 유저들은 '몸에 굳는 것인데, 회피율은 왜 감소하는가?'라는 질문을 글로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이를 따지고 보면, 악령을 소환하여 움직임을 봉쇄하는 스킬이기 때문에, 회피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스킬의 컨셉에 맞다고는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움직임 자체가 봉쇄되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강력한 스킬이었기 때문에 추가적인 회피율 디버프까지는 너무한 부분이 있었다

 

■ 힘에 의해서 방어율이 대폭 증가하도록 변경
: 물리 대미지가 상대적으로 감소

방어율은 물리 대미지 감소율, 회피율은 물리 대미지 회피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런데 무거운 갑옷을 장착하는데도 회피율이 상승하는 것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도 의문을 가지는 유저들이 많았다

다른 게임들에서는 회피율이 아닌 다른 명칭(예: 방어력 등)으로 대체하거나, 대미지 감소율만 부여하고 회피율은 별도의 스킬(공격을 받으면 일정 확률로 회피 또는 방패로 방어)이나 아이템의 옵션(공격을 받으면 일정 확률로 회피)을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다크에덴에서는 이와 같은 시스템이 이상하게 구현되어 있었다

공격 자체를 피하는 회피율이 아니라, 공격을 맞더라도 흘려버리는 개념의 회피율이라고 생각하면 되기는 한다

2019년 3월 13일 '각성 2차' 패치로 인해 다크에덴에서는 명중률과 회피율 시스템이 삭제되었고, 특수 효과를 제외한 모든 공격은 무조건 명중하게 되었다. 이로써 무겁고 두꺼운 갑옷을 두르는데 회피율이 상승하는 괴상한 시스템은 2019년을 기점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2002년 5월 14일

■ 틴 버전 도입
[1] 맵에 존재하는 잔인한 표현 삭제
[2] 혈흔이 녹색으로 변경
[3] 몬스터의 시체는 '재'로 몬스터의 머리는 '해골'로 변경

고어한 표현들이 순화되었지만, 게임 플레이에는 큰 영향이 없었다. 물론, 일부 유저들은 몰입감이 떨어진다고 느끼기도 했다. 그러나 오히려 몬스터의 시체를 루팅하기에 더 편해진 점은 장점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성인 유저들조차 틴 버전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후 패치로 성인도 틴버전을 선택하여 플레이 할 수 있게 되었다

 

2002년 5월 18일

■ 유료화에 대한 루머 해명
: 유료화는 부분 유료화(유료 존)로 도입

그 시절 대다수의 게임들은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월 정액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부 게임은 리니지처럼 일정 기간 무료 접속 기간을 제공하기도 했고, 일부는 저레벨 구간에 제한을 두어 완전한 접속 차단은 없었지만,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월 정액제를 이용해야 했다

유료화 단계부터 부분 유료화로 기획된 게임은 당시에는 드문 사례였다. 다크에덴은 이와 같은 방식을 채택한 게임 중 하나였으며, 이전에 퀴즈퀴즈와 같은 게임들이 유료화 실패 후 부분 유료화로 성공한 사례를 참고했을 가능성도 있다

부분 유료화(프리미엄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많은 유저들이 게임을 무료로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었고, 운영자의 말대로 수익 모델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인 듯 보였으나, 금세 캐릭터 레벨(슬레이어는 계열 레벨의 총합)에 30레벨이라는 제한이 걸리면서 사실상 유료화와 다름없게 되었다. 즉, 플레이는 무료였지만 레벨 제한이 있다는 점에서 유료화와 비슷한 효과를 낳게 되었고, 이로 인해 대다수의 유저가 다크에덴을 떠나게 되면서 게임에 매우 큰 타격을 입었다. 타 종족과의 전투가 중요한 게임에서 유저가 적다는 것은 치명적인 문제였기 때문이다

이 당시에 레벨 제한을 75레벨 정도로만 걸었어도 유저가 많이 빠지지 않았을텐데, 30레벨이라는 것은 정말 아쉬운 부분 중에 하나이다

프리미엄 서비스의 가격은 1달 9,900원으로 비싸지 않았지만, 많은 학생 유저들이 게임을 즐기고 있었기 때문에, 유료화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 유저들이 많았을 것이다. 당시에는 문화상품권 결제도 보편화되지 않았고, 무통장 거래는 있었지만, 학생들이 이용하기에는 부담스러워하는 경향이 있어 유료화의 진입 장벽이 높았던 점이 있었다(이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결국 레벨 제한은 금세 풀렸고, 유저 수도 다시 증가했지만, 이전의 유저 수에 비하면 굉장히 줄어든 상황이었다

2002년 6월 업데이트


2002년 6월 11일

■ 슬레이어 스킬 변경

[힐] 큐어 라이트 운즈

능력치 경험치를 일정량 고정적으로 습득하는 방식에서 치료되는 수치만큼 획득되도록 변경

[힐] 큐어 시리어스 운즈

능력치 경험치를 일정량 고정적으로 습득하는 방식에서 치료되는 수치만큼 획득되도록 변경

[힐] 큐어 크리티컬 운즈

능력치 경험치를 일정량 고정적으로 습득하는 방식에서 치료되는 수치만큼 획득되도록 변경

[힐] 큐어 올

능력치 경험치를 일정량 고정적으로 습득하는 방식에서 치료되는 수치만큼 획득되도록 변경. 쿨타임 증가

 

2002년 6월 17일

■ 몰다비아 월드 오픈

트랜실베니아, 왈라키아, 몰다비아 월드로 총 3개의 월드가 되었다

 

2002년 6월 18일

■ 최초의 그랜드마스터(LV.100) 탄생

라센외성에서 100레벨을 달성하였다고 전해진다

 

2002년 6월 22일

■ 프리미엄 서비스 실시 전, 사전 설명
[1] 프리미엄 사용자만이 출입가능한 '프리미엄 서비스 존(유료존)'
· 경험치 획득률 및 아이템 루팅률 2배 증가(해당 존에서만)
· 신규 몬스터 5종 등장(해당 존에서만)
· 등급이 높은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음
· 프리미엄 존(페로나 국도)에 유료존 사용자를 위한 마을추가
· 현재 유료존 예정 지역 : 페로나 국도, 페로나국도 남부, 티로르 호수 북서 / 남서

[2] 프리미엄 서비스 실시 후, 일주일 이내 가입시 보너스 기간 추가(7일)

 

■ 프리미엄 서비스 요금(예정)
[1] 개인 요금(부가세 포함)
· 1개월 정액제 : 6,600원
· 1일(24시간) : 1,100원
· 3일(72시간) : 2,200원
· 7일(168시간) : 3,300원

[2] PC방 요금(1개의 IP당, 부가세 포함)
· 1개월 정액제 : 44,000원
· 300시간 : 66,000원
· 600시간 : 118,800원
· 1,000시간 : 178,200원

 

2002년 6월 30일

■ 프리미엄 서비스 시행 연기

7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지만, 테스트 도중 문제점이 발견되어 연기가 되었다

2002년 7월 업데이트


2002년 7월 11일

■ 회피율과 명중률의 차이가 극심할 경우에도 최소 30%의 공격 성공률을 보였던 것을 하향 조정

 

2002년 7월 13일

■ 프리미엄 서비스 실시
: 2002년 7월 15일까지 체험판 형식으로 모든 유저에게 서비스가 적용

■ 프리미엄 서비스 요금(확정)
[1] 개인 요금(부가세 포함)
· 1개월(30일) 정액제 : 9,900원
· 3개월(100일) 정액제 : 29,700원
· 6개월(200일) 정액제 : 59,400원
· 1시간 종량제 : 1,500원
· 3시간 종량제 : 3,000원
· 10시간 종량제 : 5,000원

[2] PC방 요금(1개의 IP당, 부가세 포함)
· 1개월(30일) 정액제 : 44,000원
· 300시간 정량제 : 66,000원
· 600시간 정량제 : 118,800원
· 1,000시간 정량제 : 178,200원

개인 요금은 처음 공지했던 가격보다 50% 증가하였다. 결제는 13일 21시부터 시작하였으나, 이용시간 감소는 체험 기간이 끝나는 15일 자정부터 차감되도록 하였다

 

■ 인터페이스 변경
[1] 버프, 디버프, 지속 스킬을 파악할 수 있는 창 추가
[2] 모든 창을 반투명 / 불투명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3] 각종 창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도록 변경
[4] 채팅, 미니맵, 벨트, 메뉴 창에 자동 숨김 / 고정 기능 추가
[5] 일부 스킬의 설명 변경
[6] 메인 메뉴에서 능력치 경험치, 계열 경험치, 경험치(뱀파어의 경우) 확인 가능
· 경험치 바를 추가하여 실시간으로 경험치가 올라가는 것을 확인 가능

 

■ 슬레이어 스킬 추가

[도] 컨센트레이션

시전자가 모든 정신력을 도에 집중할 수 있다면 자연히 명중률이 높아진다. 이 기술을 수련한 무사는 전투에 임할 시 이 기술을 시전하면 언제든 무기에 날카롭게 정신을 집중시킬 수 있다. 이것은 도를 들고 있을 때 항상 적용이 가능하다

 

[도] 이베이션

도를 가지고 오랜 시간 수련을 한 무사들은 도를 들고 전투에 임할 때, 자연스럽게 온 정신을 집중하여 자신의 노리는 적의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즉 공격을 피하는 회피율이 상승되며, 이 기술을 마스터하면 특별한 과정이 필요 없이, 도를 들고 있는 것만으로 기술이 발동된다

 

[도] 쉐도우 댄싱

그 어떤 살기도 느껴지지 않는 특이한 기법으로, 동시에 삼 방향을 점하는 현란한 움직임은 공격이라기보단 차라리 칼의 춤이다. 그림자가 춤춘다고 보이는 순간, 모든 적의 피를 흩뿌리게 하는 기묘한 기술로 알려져있다

 

[도] 타이푼

시전자의 주위를 휩쓸어버리는 회오리 바람을 생성하는 강력한 기술이다. 블레이드의 특수한 움직임으로 어느 한 점에 에너지를 중첩시켜, 지면 부근의 대기를 불안정하게 하는 것이 원리라는 것이 연구되었다. 적중하면 대부분의 생명체는 의식 불명에 빠지게 된다

 

[검] 소드 마스터리

무기를 가장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은 무기와 얼마나 오랜 시간을 보냈느냐 하는 것. 검을 가지고 긴 시간 동안 꾸준히 수련을 한 자들은 자연스럽게 그 검의 위력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검] 쉴드 마스터리

방패를 단순한 방어구로 생각한다면 매우 곤란하다. 방패가 공격 무기는 아닐지언정 자신의 몸을 방어하며 상대와의 거리를 유지하는 등 그 효과는 단순한 방어구 이상인 것이다. 전투에서 방패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기술이 숙련되어야 한다. 방패를 다루는 기술을 마스터했을 경우, 단순히 공격무기만 들고 싸울 때보다 생존율이 훨씬 높아질 것이다

 

[검] 멘탈 소드

검을 가지고 거듭되는 수련을 통해 검기를 자유 자재로 다룰 수 있을 정도까지에 다다르게 된 사람들은 검에 정신력을 부여하여 물리적인 힘 없이도 검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검] 썬더 스톰

고된 수련을 거듭한 검사는 수련을 통하여 어느정도 자연의 법칙을 터득하게 되어, 번개의 기운을 검끝에 불어넣을 수 있게 됩니다

 

[군인] 옵져빙 아이

마스터에 가까운 군인이 되면 적의 움직임을 세세히 살필 수 있는 안력이 극에 달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적의 움직임 하나하나를 관찰하게 되고, 그 움직임 속에서 적의 약점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안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힐] 피스

수련을 거듭한 성직자는 신비로운 친화력을 발휘하여, 사악한 괴물들에게조차 평온함을 선사할 수 있게 된다. 친화력의 영향 범위 안에 있는 적들은, 일정 시간 동안 시전자가 공격할 때까지 적대적인 행동을 하지 않는다. 동양의 도인들은 명상을 통해 비슷한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힐] 액티베이션

오랫동안 고행을 거듭한 성직자들에게 나타나는 성령의 은총으로, 바티칸 지하 서고에 소장되어 있는 고대 기록에는 몇몇 성직자에게만 이 은총이 발현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에 대한 믿음이 시술자와 시전자 모두에게 간곡하다면, 다친 사람의 상처를 훨씬 빨리 아물게 할 수 있습니다

 

[인챈트] 생츄어리

시전한 성직자의 주변에 성령의 힘으로 결계를 치고, 그 영역을 현세와 유리시키는 권능이다. 성직자의 신앙에 따라 여러가지 특수한 법칙이 결계 영역을 지배하게 된다. 결계 안에 있는 누구도 밖으로 나갈 수 없으며, 안으로도 들어올 수 없다. 그러나 적의 원거리 공격 중 일부에는 적중된다

 

[인챈트] 리플렉션

뱀파이어가 사용하는 저주를 막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되돌려 보내기까지 하는 위대한 권능이다. 한 종파의 최고위 성직자 레벨에서만 시전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지난 100년 동안 한번도 시전되지 않았다

 

■ 뱀파이어 스킬 추가

[소환] 서먼 캐스킷

평범한 쇠붙이는 우리에게 어떤 상처도 입히지 못한다. 하지만 순은으로 만들어졌거나, 도금된 무기에 당하면 그리 쉽게 회복할 수가 없단다. 그런 때에는 태어난 곳의 흙이 담겨있는 관을 소환해서, 잠시라도 휴식을 취해야만 한다

 

[저주] 데스

이 저주 마법은 소환한 악령을 인간에게 깃들게 해서, 필멸의 운명을 서둘러 찾아오게 한다. 목표가 된 인간은 어떤 마법 공격을 받더라도 치명상을 입을 확률이 높아진다

 

■ 몬스터 추가

로드카오스
몬스터 추가

 

다크가디언
몬스터 추가

 

다크헤이즈
뱀파이어 모체에서 태어날 수 있는 경우. 일란성 쌍둥이의 유전자의 변형에 의해 변태한 뱀파이어입니다

 

헬핀드
원래는 남성이었으나 계속된 마법 사용으로 인해 성과 외모가 바뀌게 된 뱀파이어입니다

 

카오스그리드
근육이 발달한 몬스터들이 비정상적으로 변태해서 특수한 변이를 만들어 낸 케이스 입니다

 

■ 타 종족의 닉네임 확인 불가능하도록 변경
: 대화창에서도 타 종족의 닉네임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변경

■ 종족별 페로나 마을 추가
[1] 슬레이어 : 페로나 남서
· 카르멘 : 아이템 판매, 치료
· 로빈 : 아이템 수리, 보관함

[2] 뱀파이어 : 페로나 북동
· 머피 : 아이템 판매, 치료
· 그리피스 : 아이템 수리, 보관함

 

■ 뱀파이어 라센성 내부 마을 NPC 활성화
[1] 아이만 : 보관함, 수리
[2] 카임 : 마법 교육
[3] 프리야 : 악세사리 판매
[4] 아그네 : 코트 판매

 

■ 종족별 다른 화폐단위를 사용하게 변경
[1] 슬레이어 : 레이
[2] 뱀파이어 : 겔드

이후 2003년에 추가되는 종족인 아우스터즈는 화폐단위로 '자드'를 사용한다

 

■ 슬레이어 변경사항
: 도, 산탄총, 저격총의 공격속도 상승

무기 옵션인 '공격속도'가 아닌 모션 자체가 빨라진 것이다

 

■ 고레벨 몬스터가 저단계 아이템을 루팅하지 않도록 변경

 

2002년 7월 14일

■ 성물 전쟁 업데이트(이벤트 형식으로 일정기간 동안만 진행)
[1] 타 종족의 성물보관대에서 성물을 탈취하여 자기 종족의 성물보관대로 가져다 놓는 방식
[2] 성물을 소유한 플레이어는 이동에 제약이 생긴다
[3] 승리하는 종족은 다음 전쟁시까지 순수 HP 10% 증가
[4] 종족별 성물보관대 위치와 찾아가는 길
· 슬레이어 : 바토리 던전 → 고르고바 터널 → 림보성 던전 → 페이악 터널 → 지하수로 → 테메리에 성지(성물보관대 위치)
· 뱀파이어 : 지하수로 → 페이악 터널 → 림보성 던전 → 고르고바 터널 → 바토리 던전 2층 → 바토리 던전 3층 → 바토리 던전 4층 → 힐라놈 성지(성물보관대 위치)

 

2002년 7월 31일

■ 겜블 기능 추가
: NPC에게 확인되지 않은 아이템을 구매하여 인벤토리에서 아이템의 단계와 옵션을 확인

■ 로스트 타이얀 맵 업데이트

■ 길드 채팅 기능 추가

■ 원하는 색으로 채팅을 하는 채팅칼라 기능 추가

■ 뱀파이어 아이템 추가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뱀파이어_악세사리(귀걸이)]

슬레이어와의 장착 아이템 수량을 맞추기 위해서 추가된 악세사리 '귀걸이'입니다 귀걸이 이후에 장갑(너클, 클로)과 비드(구슬)이 추가되어서 뱀파이어는 악세사리가 굉장히 많아지게 되었죠. 원래는 '목걸이 1개..

reggiane.tistory.com

[1] 귀걸이
· 브론즈 이어링
· 실버 이어링
· 골드 이어링
· 데스 썬 이어링
· 베츠 서클 이어링
· 쉴드 오브 다크니스
· 블러디 피스트
· 이어링 오브 이터널 라이프
· 더 캐츠 아이
· 스컬 오브 디스트럭션


2002년 8월 업데이트


2002년 8월 14일

■ 아이템 추가

블루드롭
아담의 눈물이라고도 불리며 푸른빛이 감도는 크리스탈 색을 띄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먼 옛날 모든 뱀파이어의 어머니이자 지모신 릴리스가 듀의 모함에 의해 12인의 장로들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뱀파이어족은 릴리스를 중심으로 꾸준히 번영을 이루던 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서서히 몰락해 가고 말았다. 그 때 아담은 아내 릴리스의 시신을 가슴에 안고 절규하며 눈물을 흘렸고, 그 눈물이 굳어 이루어진 것이 블루 드롭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아담의 눈물이라고도 불리는 블루 드롭은 에슬라니안 동부의 일부 지역에서만 극소량 발견되고 있으며, 그 가치는 다이아몬드를 웃돈다고 한다. 자연상에서도 작은 결정 상태로만 분포되어 있어, 눈물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듯 하다. 특별한 힘을 가진 자가 이 보석을 손에 넣으면 그 힘을 이끌어내는데 도움을 준다고도 전해지나 아직 이를 확인한 자는 없다

다크에덴의 최초 인챈트 아이템잠수함 패치 이후 인챈트 확률이 급격히 낮아졌고, 그로 인해 현재는 쓰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는 인챈트 확률이 상당히 높았기 때문에, 블루드롭이 게임에 패치되고 나서도 이를 모르는 유저들이 많았던 초기, NPC 상점에서 구입한 2단계 옵션(힘2, 덱스2, 인트2, 공격속도10 등)을 인챈트하여 3단계로 상승시키고, 이를 다른 유저에게 판매하면서 돈을 벌기도 했다

 

■ 아실리온 던전 맵 업데이트

아실리온 던전
아실리온은 페로나 국도를 공사하던 인부들에 의해 발견되었고, 이는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바티칸은 역사 학자들을 파견하여 이 유적에 대한 탐사와 연구를 시작하게 하였다. 탐사팀은 입구 부분에 안전 공사를 시행한 후 내부로 탐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탐사 도중 몰려든 몬스터들로 인해 탐사는 중단될 수밖에 없었고, 슬레이어들이 급히 파견되었다. 이들의 보고에 의하면 이 던젼은 이미 멸종된 고대 뱀파이어의 집단 서식지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독특한 종교 의식을 행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내부에는 의식을 치르던 넓은 강단을 중심으로 뱀파이어들의 관이 줄지어져 있으며, 그밖에 숙소, 서고, 지하감옥, 고문실, 중앙 광장으로 보이는 곳도 있다

 

■ 게임 내에서 길드 창설 및 가입이 가능하도록 기능 추가

■ 틴버전 선택 옵션 추가
: 성인도 틴버전으로 플레이 가능하도록 변경

 

2002년 8월 22일

■ 배틀로얄 이벤트

 

2002년 8월 27일

■ 뱀파이어 아이템 추가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뱀파이어_무기]

뱀파이어가 사용하는 무기인 너클과 클로입니다 원래 뱀파이어는 무기 시스템 자체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초반에 공격속도를 높게 맞추기가 어려웠는데요. 무기가 추가되고 나서는, 초반부터 높은 공격속도를 손쉽..

reggiane.tistory.com

[1] 너클 & 클로
· 너클 파트
· 썸 그랩
· 포스 너클
· 제미널 링 너클
· 예티 크로우
· 캣츠 크로우
· 피스트 너클
· 에이프 너클
· 사브 너클
· 지프 핸즈 너클
· 룬 다이버 너클
· 마이트 너클
· 자마다르
· 카타르
· 아메메트 크로우

 

 

다크에덴 :: 아이템 설명 [뱀파이어_악세사리(비드)]

뱀파이어의 악세사리인 비드(구슬)입니다. 귀걸이가 추가되고 약 한 달 뒤에 무기와 같이 추가되었죠 저는 당시에 '장갑은 전투 계열이고 비드는 마법 계열이 착용하는 무기로 나와야 하는게 아닌가'라고 생각해서..

reggiane.tistory.com

[2] 비드
· 라드
· 켄
· 제라
· 에오르
· 만
· 부만
· 잉그
· 오셀
· 오달
· 다에그

 

■ 유니크 아이템 추가

 

다크에덴 :: 유니크 아이템 설명

유니크란? 2002년 8월에 추가된 아이템 등급으로 '당시의 기준'에서는 좋은 편에 속했습니다 홈페이지에 가보면 슬레이어 기준으로 무기는 10단계, 방어구는 8단계까지 나와있어도 드랍률이 워낙에 낮아서 그 많은..

reggiane.tistory.com

 

■ 타 종족 아이템은 습득이 불가능하게 변경

타 종족의 아이템 자체는 루팅되지 않지만, 이미 타 종족이 루팅한 아이템을 습득할 수 있었다. NPC상점에 되팔 수 있었기에, 슬레이어 NPC상점에 뱀파이어 아이템이 더 많이 보일 정도로 타 종족 아이템 판매는 흔한 일이었으나, 패치가 되어 타 종족의 아이템을 습득할 수 없게 되었다

 

2002년 8월 30일

■ 뱀파이어의 귀걸이 아이템의 회피율2, 방어율1 상승


2002년 9월 업데이트


2002년 9월 17일

■ 상대방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기능 추가

■ 계급 시스템 추가

계급 시스템 최초 도입되었을 때, 계급 레벨은 50이 끝이었으며. 이후 11년 뒤인 2013년도에 계급이 확장되어 100까지 늘어났다(아우스터즈는 1년 뒤인 2003년에 추가되는 종족이다)

2002년 11월 업데이트


2002년 11월 15일

■ 캐릭터 선택시 슬레이어가 아닌 뱀파이어로도 종족을 선택 할 수 있게 변경
: 슬레이어가 흡혈 당해서 뱀파이어로 변하는 기존의 방식도 여전히 가능

■ 바닥에 드랍된 아이템이 사라지는 시간이 기존 10분에서 3분으로 변경

■ 아이템의 요구 능력치보다 능력치가 낮아도 아이템을 착용하던 것을 불가능하게 변경

착용은 되어도 아이템은 적용이 되지 않고 있었는데, 착용 자체를 불가능하게 변경한 것이다

 

■ 그랜드마스터(LV100) 이펙트 추가

■ 슬레이어 변경사항
[1] 적정무기 시스템
· 도메인 레벨에 따라서 적정 단계의 무기가 정해진다
· 적정 단계 무기(100%), 미만의 무기(80%), 높은 단계의 무기(120%) 경험치 획득

[2] 적정레벨 시스템

캐릭터 최고도메인레벨 - 몬스터레벨 경험치획득 %
50 이하 30%
41 ~ 50 50%
40 100%
0
-20
-21 ~ -30 120%
-31 ~ -40 130%
- 40 이상 140%

 

■ 회피율과 명중률 공식이 변경
: 덱스에만 영향을 받던 회피율이 레벨에도 영향을 받도록 변경

■ 슬레이어 스킬 추가 및 변경 계획 업데이트

이미 업데이트된 스킬을 포함하여 스킬 추가나 변경에 대한 계획은, 회사 이름이 메트로텍에서 소프톤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계획이 흐지부지 되었다. 이후 추후 그대로 추가되거나, 컨셉을 살려서 일부는 고레벨 스킬로 추가되었으며, 추가되는 계열이 바뀐 경우도 존재했다

[추가예정] [도] 파워 스턴(Power Stun)
기를 폭발시켜 적들을 밀어내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도] 멀티 엠퓨테이트(Multi Amputate)
다수의 도광을 발사하는 원거리공격기

[추가예정] [도] 에어 쉴드(Air Shield)
매우 강력한 방어막을 형성하는 기술

[추가예정] [도] 파워 오브 랜드(Power of Land)
대지를 진동시키는 초광역공격기

[추가예정] [검] 엑셀러레이션(Acceleration)
일시적으로 공격속도를 크게 향상

[추가예정] [검] 소드 레이(Sword Ray)
검광을 발사해 폭파시키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검] 샤프 쉴드(Sharp Shield)
공격과 방어를 겸하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

[추가예정] [검] 와이드 라이트닝(Wide Lighting)
붉은 뇌격을 소환하는 초광역공격기

[추가예정] [군인] 필드 메디신(Field Medicine)
일시적으로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기술

[추가예정] [군인] 라이브니스(Liveliness)
최대 HP를 늘려주는 패시브 기술

[추가예정] [군인] 암스 마스터리(Arms Mastery)
공격능력을 향상시키는 패시브 기술

[추가예정] [군인] 컨실먼트(Concealment)
일시적으로 방어능력을 향상시키는 특수기

[추가예정] [군인] 런닝 파이어(Running Fire)
전방의 넓은 범위를 공격하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군인] 아머 피어싱(Armor Piercing)
상대의 방어능력을 일부 무시하는 공격기

[추가예정] [군인] 오토 리로드(Auto Reload)
탄창을 자동으로 장전시키는 패시브기술

[추가예정] [군인] 엠부쉬(Ambush)
자신의 몸을 숨기고 공격능력을 향상시킴

[추가예정] [군인] 포트리스(Fortress)
접근을 막는 방어막을 형성하는 특수기

[추가예정] [군인] 봄 런쳐(Bomb Launcher)
유탄발사기를 사용하게 해주는 기술

[추가예정] [군인] 런쳐 마스터리(Launcher Mastery)
유탄발사기 사용능력을 올려주는 패시브기술

[추가예정] [군인] 불릿 오브 라이트(Bullet of Light)
일시적으로 공격력을 크게 올려주는 특수기

[추가예정] [군인] 건샷 가이던스(Gunshot Guidance)
일정지역을 포격하는 강력한 광역기술

[삭제예정] [군인] SMG 마스터리(SMG Mastery)
암스 마스터리(Arms Mastery)로 통합

[삭제예정] [군인] AR 마스터리(AR Mastery)
암스 마스터리(Arms Mastery)로 통합

[삭제예정] [군인] SG 마스터리(SG Mastery)
암스 마스터리(Arms Mastery)로 통합

[삭제예정] [군인] SR 마스터리(SR Mastery)
암스 마스터리(Arms Mastery)로 통합

[삭제예정] [군인] 크리에이트 봄(Create Bomb)

[삭제예정] [군인] 크리에이트 마인(Create Mine)

[삭제예정] [군인] 인스톨 마인(Install Mine)

[추가예정] [인챈트] 라이트 볼(Light Ball)
성력을 모아 발사하는 원거리공격기

[추가예정] [인챈트] 디나이얼 매직(Denial Magic)
마법 방어력을 비약적으로 올림

[추가예정] [인챈트] 엠플리파이(Amplify)
최대 MP를 늘려주는 패시브기술

[추가예정] [인챈트] 리뷰크(Rebuke)
대미지를 주며 기절시키는 초광역기술

[추가예정] [인챈트] 스피릿 가드(Spirit Guard)
접근을 막으며 대미지를 입히는 구체 소환

[추가예정] [힐] 홀리 애로우(Holy Arrow)
성스러운 화살을 쏘는 원거리공격기

[추가예정] [힐] 홀리 스피릿(Holy Spirit)
자신의 체력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는 기술

[추가예정] [힐] 리퀘이틀(Requital)
근접공격에 대한 대미지를 일부 되돌림

[추가예정] [힐] 리제네레이션(Regeneration)
움직임에 제약을 받는 초광역치유기술

[추가예정] [힐] 턴 언데드(Turn Undead)
악한 영혼을 안식시키는 초광역공격기

 

■ 뱀파이어 스킬 추가 및 변경 계획 업데이트

이미 업데이트된 스킬을 포함하여 스킬 추가나 변경에 대한 계획은, 회사 이름이 메트로텍에서 소프톤으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계획이 흐지부지 되었다. 이후 추후 그대로 추가되거나, 컨셉을 살려서 일부는 고레벨 스킬로 추가되었으며, 추가되는 계열이 바뀐 경우도 존재했다.

[추가예정] [고유] 핸즈 오브 위즈덤(Hands of Wisdom)
지혜로운 뱀파이어를 위한 근접공격기

[추가예정] [고유] 네일 마스터리(Nail Mastery)
모든 근접공격력을 상승시켜주는 패시브기술

[추가예정] [고유] 스톤 스킨(Stone Skin)
원거리와 근거리 물리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마법

[추가예정] [고유] 홀리 프로텍션(Holy Protection)
성직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마법

[추가예정] [고유] 티파레트(Tiphreth)
적의 피를 흡혈하여 동료에게 나눠주는 마법

[추가예정] [블러드] 래피드 글라이딩(Rapid Gliding)
상대와의 거리를 순간적으로 좁히는 마법

[추가예정] [블러드] 블러디 스트라이크(Bloody Strike)
다수의 피를 뿜어내는 강력한 원거리공격기

[추가예정] [블러드] 네일 오브 데스(Nail of Death)
죽음의 십자가를 그리는 강력한 근접공격기

[추가예정] [블러드] 블러디 월(Bloody Wall)
일렬로 피의 장막을 늘어놓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블러드] 블러디 스톰(Bloody Storm)
피의 비를 내리게 하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블러드] 블러디 웨이브(Bloody Wave)
주변에 피 기둥을 솟게 하는 광역공격기

[추가예정] [블러드] 아마겟돈(Armageddon)
상대를 가두고 체력을 빼앗는 마법

[추가예정] [저주] 다크 템테이션(Dark Temptation)
상대를 자신 앞으로 끌어오는 마법

[추가예정] [소환] 서몬 서번트(Summon Servant)
자신의 능력을 보완해줄 소환체를 부르는 마법

[삭제예정] [독] 포이즈너스 핸즈(Poisonous Hands)

[삭제예정] [독] 그린 포이즌(Green Poison)

[삭제예정] [독] 다크 블루 포이즌(Dark Blue Poison)

[삭제예정] [고유] 다크 리벤지(Dark Revenge)

[삭제예정] [저주] 둠(Doom)

[삭제예정] [저주] 시덕션(Seduction)


2002년 12월 업데이트


2002년 12월 5일

■ 슬레이어 계급 스킬 추가 : 각 계급별 패시브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1] 서런트
· 데들리 스피어(Deadly Spear) : 크리티컬 공격력 증가
· 베히모스 아머(Behemoth Armor) : 회피율 증가
· 드래곤 아이(Dragon Eye) : 명중률 증가
· 이모탈 하트(Immortal Heart) : HP증가
· 릴라이언스 브레인(Reliance Brain) : MP증가

[2] 피셀
· 슬레잉 나이프(Slaying Knife) : 대미지 증가
· 호크 윙(Hawk Wing) : 공격속도 증가
· 홀리 스매싱(Holy Smashing) : 인챈트 계열 공격기술 데미지 증가
· 소울 스매싱(Soul Smashing) : Heal 계열 공격기술 데미지 증가>

[3] 리테나
· 사파이어 블레스(Sapphire Bless) : 애시드 마법저항력 증가
· 루비 블레스(Ruby Bless) : 블러드 마법저항력 증가
· 다이아몬드 블레스(Diamond Bless) : 저주 마법저항력 증가
· 에메랄드 블레스(Emerald Bless) : 독 마법저항력 증가

[4] 케이널
· 매직 브레인(Magic Brain) : 스킬 사용시 MP소모량 감소
· 와이트 핸드(Wight Hand) : HP흡수 증가
· 세이렌 핸드(Seiren Hand) : MP흡수 증가
· 포춘 핸드(Fortune Hand) : 행운 증가

 

■ 뱀파이어 계급 스킬 추가 : 각 계급별 패시브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1] 라히스리터
· 이모탈 블러드(Immortal Blood) : HP증가
· 베히모스 스킨(Behemoth Skin) : 회피율 증가
· 세이프 로브(Safe Robe) : 방어율 증가

[2] 바로네트
· 크로우 윙(Crow Wing) : 공격속도 증가
· 위즈덤 오브 블러드(Wisdom of Blood) : 스킬 사용시 HP소모량 감소
· 타이거 네일(Tiger Nail) : 근접 공격 계열 스킬 데미지 증가
· 우라노스 블레스(Uranus Bless) : HP회복속도 증가

[3] 프라이헤르
· 디스럽션 스톰(Disruption Storm) : 스톰 스킬 데미지 증가
· 와이드 스톰(Wide Storm) : 스톰 스킬 범위 증가
· 날리지 오브 포이즌(Knowledge of Poison) : 독 마법 성공률 증가
· 날리지 오브 애시드(Knowledge of Acid) : 애시드 마법 성공률 증가
· 날리지 오브 커스(Knowledge of Curse) : 저주 마법 성공률 증가
· 날리지 오브 블러드(Knowledge of Blood) : 블러드 마법 성공률 증가
· 날리지 오브 이네이트(Knowledge of Innate) : 고유 마법 성공률 증가
· 날리지 오브 서몬(Knowledge of Summon) : 소환 마법 성공률 증가

[4] 그라프
· 위즈덤 오브 스웜(Wisdom of Swamp) : 애시드 스웜 지속시간 증가
· 위즈덤 오브 사일런스(Wisdom of Silence) : 페럴라이즈 지속시간 증가
· 위즈덤 오브 다크니스(Wisdom of Darkness) : 다크니스 지속시간 증가
· 와이드 다크니스(Wide Darkness) : 다크니스 범위 증가

 

■ 뱀파이어 변경사항
[1] 덱스에 의해서 HP가 회복되는 간격이 짧아지도록 변경
[2] 혈청, 박쥐 날개, 늑대 발톱이 몬스터에게 드랍되도록 변경

 

■ 아이템 옵션 추가 및 삭제

행운(Luck)
좋은 아이템이 드랍될 확률을 올려준다. HP재생 1% → 행운 1

모든 능력치(All Attribute)
힘, 덱스, 인트 능력치를 모두 상승시켜준다. HP재생 3% → 모든 능력치 1, HP재생 5% → 모든 능력치 2

모든 저항력(All Resistance)
독, 애시드, 블러드, 저주 등의 모든 마법저항력을 상승시켜준다. MP재생 1% → 모든 저항력 1, MP재생 3% → 모든 저항력 3, MP재생 5% → 모든 저항력 5

HP재생, MP재생
행운, 모든 능력치, 모든 저항력으로 변환되며 게임 내에서 삭제

그러나 유니크 아이템 및 일부 잔존하는 아이템에는 재생 옵션이 남아있었다

 

■ 슬레이어 아이템 추가

에이터(Ater)밸런스 링
힘 능력치의 5%를 덱스로 전환

이언씨너스(Ianthinus) 밸런스 링
힘 능력치의 5%를 인트로 전환

크로시어스(Croceus) 밸런스 링
덱스 능력치의 5%를 힘으로 전환

사이언(Cyan) 밸런스 링
덱스 능력치의 5%를 인트로 전환

마젠타(Magenta) 밸런스 링
인트 능력치의 5%를 힘으로 전환

글루서스(Glaucus) 밸런스 링
인트 능력치의 5%를 덱스로 전환

 

■ 슬레이어 스킬 추가 및 변경

[군인] 라이브니스

강렬한 전투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군인들은 여러 상황별 생존 기술을 터득해야 한다. 꾸준한 훈련과 학습을 통해 습득된 생존 기술은 군인 개개인의 생존률 및 생명력을 비약적으로 행상시켜줄 것이다

[힐] 큐어 포이즌

독 마법 해제 확률은 스킬레벨이 아닌 시전자의 인트에 의해서 영향을 주도록 변경

[힐] 프로텍션 프롬 포이즌

독 마법저항력 상승치는 스킬레벨이 아닌 시전자의 인트에 의해서 영향을 주도록 변경

[힐] 리무브 커스

저주 마법 해제 확률은 스킬레벨이 아닌 시전자의 인트에 의해서 영향을 주도록 변경

[힐] 프로텍션 프롬 커스

저주 마법저항력 상승치는 스킬레벨이 아닌 시전자의 인트에 의해서 영향을 주도록 변경

[힐] 프로텍션 프롬 애시드

애시드 마법저항력 상승치는 스킬레벨이 아닌 시전자의 인트에 의해서 영향을 주도록 변경

728x90
반응형